일자리꿈터 역량강화 (마을브랜딩) 운영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마음을 더하고 열정을 더하고 최고를 더하는 사람들
(주)더하람 입니다.
일자리꿈터 역량강화 (마을브랜딩) 운영
창녕군 내 거주하는 군민 대상
창녕군 도시재생지원센터 2층 (창녕읍 교하새길17)
마을(로컬)브랜드개발 및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지역의 특색과 매력을 살리는 브랜드, 국내외 마을브랜드 성공사례등을 살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로컬장소의 디지털소비와 지역의 프랜차이즈화에 대해 학습하고
대구 김광석거리, 대전 소제동 ‘익선다다’, 수원 행궁동 ‘어반플레이’, 서부경남권역 ‘메가로컬’ 등
콘텐츠를 활용한 도시재생 사례를 알아봄으로써
창녕교하마을관리사회적협동조합원이 지역 특색을 살린 브랜드와 도시재생사업을 개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을 위한
최광운강사님과 첫수업을 시작하였습니다.
디자인씽킹 교육과 지역성을 기반으로 브랜드 개발을 위한 로드맵을 작성하여
마을브랜딩 스토리와 핵심가치를 담을수있는 수업을 진행했습니다.
술정리 삼층석탑, 술정리 하씨 초가, 창녕5일장, 석빙고, 극장터, 일자리꿈터, 젊음의 광장, 꼼지락공작소 등을 탐방하며
우리마을의 역사와 상징에 대해 알아보고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브랜딩 재료와 마을 키워드를 탐색해보는 시간으로
마을 해설사의 도움으로 현장 탐방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마을브랜딩 성공 사례지로
경남 남해 상업시설을 재탄생시킨 창생플랫폼의 운영 노하우와 남해주민공모사업 성과물 전시공간을 둘러보고,
카페 ‘바래온’에서는 남해로컬푸드 마늘, 시금치, 유자 등을 활용한 굿즈와 남해 김, 톳, 멸치 등을 활용한 수제어묵과 로컬푸드를 알아보았습니다.
남해각에서는 남해주민들이 판매하는 굿즈들과 나매기 캐릭터를 활용한 굿즈들을 살펴보고,
도시재생 핵심시설을 견학하며 운영 노하우 습득하여 창녕 교하마을에 벤치마킹하여 적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을위한
견학을 다녀왔습니다.
견학 다녀오지 못한 분들을 위한 사진공유와 발표를 통해,
커피박 굿즈를 만들기위한
디자인 개발하는 시간을 조별활동을 하였습니다.
창녕 친환경 콘셉트에 맞게 버려지는
커피 찌꺼기를 재생시켜 커피박 키링으로
향후 창녕교하마을관리사회적협동조합 수익 창출 기대를 위한 수업이 진행되었습니다.
승화전사 텀블러를 직접 디자인하여 향후
창녕교하마을관리사회적협동조합 수익 창출 할수있는 수업과
저번시간에 만들어진 커피박을 말려서 채색하여
키링으로 완성하였습니다.
(주)더하람은 언제나
최고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겠습니다.
- 이전글2024년 창녕군 청년센터, 청년 역량강화운영 용역 – 원데이과정 1회~5회 25.02.03
- 다음글메이커 아지트 창의현장 견학 및 3D 프린트 실습운영 25.02.0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